전체 글 559

턱을 경직시킨 채: 독립 분사구문

핵심 문법: 독립 분사구문입니다. 1. Corey는/ 앉아 있었다/ 그녀의 옆에 Corey sat beside her * 부사로 쓰인 전치사구 (beside+N) 전치사구(beside her)가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사의 역할을 할 때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해석합니다. * beside: ~ 옆에 * beside the river 강 옆에/ beside her husband 그녀의 남편 옆에/ beside her 그녀 옆에 2. Corey는/ 앉아 있었다/ 그녀의 옆에/ 그의 턱을 경직시킨 채 Corey sat beside her, his jaw set tightly * 독립 분사구문2 (S+V, N p.p. 또는 N p.p., S+V) → Corey sat besid..

두 줄 한 문장 2021.04.29

몹시 슬퍼할 운명에 놓였다: be to 부정사

핵심 문법: be to 부정사 (운명)입니다. 1. 그들은 빵과 물을 가지고 있었다 They had bread and water 2. 그들은/ 곧 가지지 못할 운명이었다/ 빵도 물도 They were soon to have neither bread nor water * be to 부정사 be to 부정사는 ‘be+ to 부정사’의 형태입니다. ‘예정(will), 의무(must), 가능(can), 운명(~할 운명이다), 의도(~할 작정이다)’의 뜻입니다. ex. 예정: We are to meet at Lotteria at 5 P.M. (우리는 롯데리아에서 오후 5시에 만날 예정이다.) 의무: You are not to do that. (너는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 가능: Happiness is not ..

두 줄 한 문장 2021.04.28

많은 것들이 살아남았다: 명사 of which

핵심 문법: 콤마 뒤에 '명사 of which'입니다. 1. 메소포타미아에서 In Mesopotamia * 부사로 쓰인 전치사구 (in+N) 전치사구(In Mesopotamia)가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사의 역할을 할 때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해석합니다. * in: ~안에서, ~에 있어서, ~에 대해서 * In Mesopotamia 메소포타미아에서/ in the lab 실험실에서/ in my opinion 내 의견에 대해 2.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들은/ 썼다/ 점토판에 In Mesopotamia the Sumerians wrote on clay tablets * 부사로 쓰인 전치사구 (on+N) 전치사구(on clay tablets)가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

한 줄 한 문장 2021.04.27

내가 결코 들어보지 못했던: 과거 완료 (had+ p.p.)

핵심 문법: 과거 완료 (had+ p.p.)입니다. 1. 하지만 오늘 내가 물었을 때, But today when I asked, * 시간의 부사절 → when I asked, 접속사 시간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when입니다. ‘when+S+V’의 형태로, ‘~할 때’의 의미입니다. 2. 하지만 오늘 내가 물었을 때,/ 그의 대답은 대답이었다 But today when I asked, his response was one * 대명사 one one은 앞에 이미 언급한 명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씁니다. 지금은 a response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ex. I don't have a pen. Can you lend me one? (펜이 없습니다, 빌려주시겠어요?) I have lost ..

한 줄 한 문장 2021.04.26

나아지는 것 같지도 않았다: 부정어 도치 (nor)

핵심 문법: 부정어 도치 (nor)입니다. 1. 그는/ 수학을 잘하지 못했다 He was not good at math * be good at: ~을 잘하다 2. 그는/ 수학을 잘하지 못했고/ 나아지는 것 같지도 않았다 He was not good at math, nor did he seem to improve. * 부정어 도치 (nor) he didn't seem to improve → nor did he seem to improve 조동사/ 주어/ 동사원형 접속사 nor는 ‘…도 (또한) 아니다’라는 부정의 의미입니다. 부정어 nor가 문두로 나오면 주어와 동사가 도치됩니다. 일반동사가 사용된 문장이 도치될 때는 조동사 do를 이용합니다. 그러면 ‘nor+ 조동사(do/does/did)+ 주어+ 동사..

한 줄 한 문장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