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인식을 조금만 바꾸면

기름 한 병 2015. 8. 3. 09:00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동격을 나타내는 명사절의 접속사 that과 조동사의 수동태를 이용한 문장입니다.

 

 

* 기본 단어:

fact 사실/ seemingly 겉보기에/ impossible 불가능한/ obstacle 장애물/ overcome 극복하다/ change 바꾸다/ perspective 시각, 견지/ a bit 약간, 조금/ courage 용기/ go into ~에 발을 내딛다/ unfamiliar 낯선/ keep ~ing 계속 ~하다/ determination 결심; 결의/ persistence 끈기

 

 

 

1. 그 사실은 그들이 용기를 가지게 한다.

 

The fact makes them have the courage

 

주어, 동사(makes), 목적어(them), 목적보어(have~)의 5형식 문장입니다.

 

make는?

사역동사입니다.

그들이 용기를 가지는 것이기에 목적어와 목적보어는 능동의 관계입니다.

따라서 ‘사역동사+ 목적어+ 동사원형’의 형태를 취합니다.

 

 

 

2. 그 사실은 그들이 친숙하지 않은 것 안으로 들어갈 용기를 가지게 한다.

 

The fact makes them have the courage to go into the unfamiliar

 

to go into the unfamiliar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 to 부정사의 마디가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to 부정사의 마디 to go into the unfamiliar가 앞에 있는 명사 the courage를 수식하지요.

(친숙하지 않은 것 안으로 들어갈 용기)

 

the unfamiliar는?

'the + 형용사'의 형태입니다.

① ‘~한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the accused (피고인) - 단수

the mute (벙어리들) -복수

 

② 'the + 형용사'는 ‘~한 것’이라는 추상명사의 의미도 가집니다.

the real (현실적인 것)

the inevitable (피할 수 없는 것)

the unfamiliar는 익숙하지 않은 것입니다.

 

 

 

3. 그 사실은 그들이 계속하게 한다.

 

The fact makes them keep going

 

주어, 동사(makes), 목적어(them), 목적보어(keep ~)의 5형식 문장입니다.

make는?

역시 사역동사입니다.

그들이 계속하는 것이기에 목적어와 목적보어는 능동의 관계입니다.

따라서 ‘사역동사+ 목적어+ 동사원형’의 형태를 취합니다.

 

 

 

4. 그 사실은 그들이 결단과 끈기를 가지고 계속하게 한다.

 

The fact makes them keep going with determination and persistence

 

전치사구(with+N)입니다.

* with: ~와 함께, ~을 가지고, ~하는 가운데(with+ N + 형)

 

 

 

5. 겉보기에 가장 불가능해 보이는 장애도 극복될 수 있다는 사실

 

The fact that most seemingly impossible obstacles can be overcome

 

the fact that S+V~은?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이 동격의 형태로 쓰였습니다.

 

동격의 that은?

① ‘N that S+V~’의 형태입니다.

앞에 있는 명사를 설명하기위하여 ‘that S+V~’이라는 명사를 사용하는 것이지요.

 

② ‘~라는 명사(N)'로 해석됩니다.

 

 

the news that he was badly injured

(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소식)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A and B

(A와 B사이에 어떠한 실제적인 관련성도 없다는 사실)

 

most seemingly는?

부사의 최상급입니다.

 

형용사의 최상급 앞에는 정관사 ‘the'를 씁니다.

It is the most confident predator.

(그것은 가장 자신감 넘치는 포식자이다.)

 

confident (자신감 넘치는)

→ more confident (비교급, 더 자신감 넘치는)

→ the most confident (최상급, 가장 자신감 넘치는)

 

부사의 최상급은?

부사의 경우는 최상급 앞에 정관사 the를 쓰지 않는 것이 기본입니다.

그러나 최상급의 부사를 강조하기 위해 정관사 the를 쓰기도합니다.

 

 

can be overcome은?

조동사의 수동태입니다.

'조동사 be+p.p.'의 형태를 취합니다.

They can overcome ~ obstacles. (능동태, 그들은 ~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

목적어를 주어 자리로 옮기고, 동사를 '조동사 be+p.p.'의 형태로 바꾸면...

→ ~ obstacles can be overcome (~한 장애들은 극복될 수 있다.)

수동의 형태가 됩니다.

 

 

 

6. 그들의 인식을 약간 바꾸는 것에 의해 겉보기에 가장 불가능해 보이는 장애도 극복될 수 있다는 사실

 

The fact that most seemingly impossible obstacles can be overcome by changing their perspectives a bit

 

전치사구(by+N)입니다.

전치사 뒤에는 동사를 쓸 수 없기에 동명사의 형태(~ing)로 바꾸어줍니다.

* by: ~ 옆에, ~에 의하여, (늦어도) ~까지, ~경에, ~의 격차로

* a bit: 약간, 조금

 

 

 

이제 마무리입니다.

 

 

그들의 인식을 조금만 바꾸면 겉보기에 가장 불가능해 보이는 장애도 극복될 수 있다는 사실은 그들이 친숙하지 않은 것으로 발을 내디딜 용기를 가지게 하고 결단과 끈기를 통해 그 일을 계속하게 한다.

 

 

The fact that most seemingly impossible obstacles can be overcome by changing their perspectives a bit makes them have the courage to go into the unfamiliar and keep going with determination and persistence.

 

 

이 글의 관련 문법입니다.

동격의 that

사역동사(have, let, make)

명사절의 접속사 that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