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행복 추구와 갑작스러운 부 사이에

기름 한 병 2015. 7. 25. 17:50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대동사, 그리고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이 보어와 동격으로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 기본 단어:

there is 있다/ agree about 동의하다/ despite ~에도 불구하고(in spite of)/ fact 사실/ real 진짜의/ connection 관계, 관련/ between A and B A와 B사이에/ pursuit 추구/ happiness 행복/ fundamental 근본적인/ human 인간의, 인간적인/ goal 목표/ fleeting 순식간의, 잠깐 동안의/ rush 돌진, 쇄도/ sudden 갑작스러운/ riches 부, 재산/ as if 마치 ~처럼

 

 

 

1. 한 가지가 있다면

 

If there is one thing

 

If는 부사절의 접속사입니다.

* there is: ~이 있다.

 

 

 

2.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If there is one thing that most people agree about,

 

전치사(about)는 명사와 함께 다닙니다.

이때 명사는 전치사의 목적어입니다.

 

that most people agree about...

이 구문에는 전치사 about의 목적어가 없지요?

전치사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생략 가능합니다.

 

 

 

3.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이다.

 

If there is one thing that most people agree about, it is that S+V~.

 

it is that S+V~

이때 it은 대명사입니다.

앞에 있는 명사 one thing을 대신해서 씁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that 이하는 be동사의 보어입니다.

 

 

 

4. 사실에도 불구하고

 

despite the fact

 

전치사구(despite+N)입니다.

* despite ~에도 불구하고(in spite of)

 

 

 

5. 어떤 실제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the fact that S+V~

이때 that은 명사절의 접속사입니다.

문장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 동격의 자리에 쓰입니다.

 

문장은 어떻게 명사로 만들 수 있을까요?

네~ 문장 앞에 that을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He was badly injured. (그는 몹시 상처를 입었다.)

that he was badly injured

이러면 명사의 역할, 즉 문장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 동격의 자리에 쓰일 수 있습니다.

 

1. 주어: That he was badly injured is a pity.

2. 보어: The truth is that he was badly injured.

3. 목적어: I know that he was badly injured.

4. 동격: I heard the news that he was badly injured.

이렇게요.

 

다른 예를 볼까요?

He was bitten by the dog. (그는 개에게 물렸다.)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

이제 명사로 바뀐 문장은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의 자리에 쓸 수 있습니다.

 

1. 주어: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 is terrible.

2. 목적어: I know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

3. 보어: The truth is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

4. 동격: I heard the news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

 

동격만 다시 보면,

동격은 앞에 있는 명사를 설명하기위하여 ‘that S+V~’이라는 명사를 사용합니다.

I heard the news that he was badly injured.

I heard the news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

the news라는 명사를 설명하는데 ‘that S+V~’이라는 명사절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동격의 해석은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태로 합니다.

the news that he was badly injured.(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소식)

the news that he was bitten by the dog.(그가 개에게 물렸다는 소식)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은?

동격입니다.

the fact라는 명사를 ‘that S+V~’이라는 명사절이 설명합니다.

해석은 앞의 명사(the fact)를 수식하는 형태로 하지요?

어떠한 실제적인 관련성도 없다는 사실!

 

 

 

6. A와 B 사이에 어떤 실제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A and B

 

전치사구(between+N)입니다.

* between A and B A와 B사이에

 

 

 

7. A와 B 사이에 어떤 실제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관련성이) 있는 것처럼 말한다.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A and B, we speak as if there is

 

'as if S+V~'는 부사절의 접속사입니다.

‘마치~처럼’이라는 뜻이지요.

 

as if there is

이때 is는 대동사입니다.

as if 이하를 풀어서 쓰면 as if there is real connection between A and B입니다.

이때 is 이하가 앞에 있는 동사 is 이하(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A and B)와 일치하지요? 앞에 나온 동사와 표현이 일치할 때는 앞에 나오는 동사 이하를 그대로 쓰지 않고 대동사를 씁니다.

 

 

 

이제 ‘between A and B’자리를 채워보면...

 

 

 

8. 기본적인 인간의 목표로서의 행복의 추구와 갑작스러운 부의 순식간의 쇄도 사이에 어떤 실제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the pursuit of happiness as a fundamental human goal and the fleeting rush of sudden riches

 

(the pursuit) of happiness는?

전치사구(of+N)입니다.

전치사구는 문장에서 형용사나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형용사로 앞에 있는 명사(the pursuit)를 수식합니다.

the pursuit of happiness (행복의 추구)

 

(happiness) as a fundamental human goal은?

전치사구(as+N)입니다.

형용사로 앞에 있는 명사(happiness)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happiness as a fundamental human goal (기본적인 인간의 목표로서의 행복)

 

(the fleeting rush) of sudden riches는?

전치사구(of+N)입니다.

형용사로 앞에 있는 명사(the fleeting rush)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the fleeting rush of sudden riches (갑작스러운 부의 순식간의 쇄도)

 

 

 

이제 4번~8번까지의 문장을 연결하여 2형식 문장의 보어자리를 완성합니다.

It(주어) is(동사) that S+V~(보어)

주어는 ~라는 것이다.

 

 

9. 그것은 기본적인 인간의 목표로서의 행복의 추구와 갑작스러운 부의 순식간의 쇄도 사이에 어떤 실제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마치 (관련성이) 있는 것처럼 말한다는 것이다.

 

It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the pursuit of happiness as a fundamental human goal and the fleeting rush of sudden riches, we speak as if there is.

 

 

 

전체를 마무리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기본적인 인간의 목표로서의 행복추구와 갑작스러운 부의 순식간의 쇄도 사이에 어떠한 실제적인 관련성이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마치 그 둘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 것처럼 말한다는 것이다.

 

 

If there is one thing that most people agree about, it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the pursuit of happiness as a fundamental human goal and the fleeting rush of sudden riches, we speak as if there is.

 

 

'세 줄 한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츠하이머... 기억할 수 없었다  (0) 2015.08.05
인식을 조금만 바꾸면  (0) 2015.08.03
구텐베르크 성경, 마틴 루터의 낙서  (0) 2015.07.24
막스 플랑크 명언  (0) 2015.07.22
작은 개인 박물관  (0) 201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