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막스 플랑크 명언

기름 한 병 2015. 7. 22. 13:54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도치 구문 중에서

장소의 부사구가 문장 앞에 나오는 경우입니다.

 

 

* 기본 단어:

seriously 진지하게/ engaged in ~에 종사하는/ scientific 과학적인/ kind 종류/ realize (생생하게) 깨닫다/ entrance 출입구/ gate 문/ temple 신전/ faith 신념, 믿음

 

 

 

1. 누구나 ~을 깨닫는다.

 

Anybody realizes that S+V~.

 

주어, 동사, 목적어로 이루어진 3형식 문장입니다.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가 필요하지요?

그럼, 문장은 어떻게 명사로 만들 수 있을까요?

문장 앞에 접속사 that을 쓰는 하나의 방법이 있습니다.

 

He was badly injured. (그는 몹시 상처를 입었다.)

that he was badly injured (그가 몹시 상처를 입은 것)

이러면 명사로 바뀌어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쓸 수 있습니다.

 

1. 주어: That he was badly injured is a pity.

(그가 몹시 상처를 입은 것은 유감이다.)

2. 보어: The truth is that he was badly injured.

(진실은 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것이다.)

3. 목적어: I know that he was badly injured.

(나는 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것을 안다.)

4. 동격: I heard the news that he was badly injured.

(나는 그가 몹시 상처를 입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2. 문구가 쓰여 있다.

 

The words are written

 

주어, 동사, 보어로 이루어진 2형식 문장입니다.

수동태 문장입니다.

write the words (능동태, 문구를 쓰다)

→ the words are written (수동태, 문구가 쓰여 있다)

 

 

 

3. 문구가 과학이라는 사원의 문으로 들어가는 입구 위에 쓰여 있다.

 

The words are written over the entrance to the gates of the temple of science.

 

over the entrance는?

전치사구입니다.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to the gates는?

전치사구입니다.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의 명사 the entrance를 수식합니다.

(the entrance to the gates, 문으로 들어가는 입구)

 

of the temple은?

전치사구입니다.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의 명사 the gates를 수식합니다.

(the gates of the temple, 사원의 문)

 

of science는?

전치사구입니다.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의 명사 the temple을 수식합니다.

(the temple of science, 과학의 사원)

 

over the entrance to the gates of the temple of science는 전치사구의 나열입니다.

이제 이 전치사구들을 문장의 앞으로 움직이면?

도치가 일어납니다.

 

 

 

4. 과학이라는 사원의 문으로 들어가는 입구 위에 문구가 쓰여 있다.

 

Over the entrance to the gates of the temple of science are written the words

 

전치사구(over~)+V(are written)+S(the words)

도치의 형태입니다.

 

 

 

이제 원래의 문장으로 돌아가서,

Anybody realizes that S+V~

realize의 목적어 자리를 4번 문장으로 채웁니다.

 

 

 

5. Anybody realizes that over the entrance to the gates of the temple of science are written the words.

 

 

 

6. ‘당신은 믿음을 가져야만 한다’라는 문구

 

the words: YOU MUST HAVE FAITH

 

콜론(:)의 뒤는 앞 단어 the words를 부연 설명합니다.

 

 

 

이제 주어를 수식해 봅니다.

 

 

 

7. 진지하게 과학적 연구에 종사해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Anybody who has been seriously engaged in scientific work

 

who는?

has been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has been engaged in은?

현재완료 수동입니다.

둘 씩 보시면 됩니다.

has been은 have+p.p., 즉 현재완료형이고요,

been engaged는 be+p.p., 즉 수동태입니다.

 

 

 

8. 어떤 종류의 과학적 연구에 진지하게 종사해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Anybody who has been seriously engaged in scientific work of any kind

 

전치사구(of+N)입니다.

앞에 있는 명사 scientific work를 수식하지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 of: ~의, ~에 대하여, ~인(동격), ~중에

 

 

 

전체를 마무리 합니다.

 

 

 

어떤 종류의 과학적 연구라도 진지하게 종사해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과학이라는 사원의 문으로 들어가는 입구 위에 ‘당신은 믿음을 가져야만 한다’라는 문구가 쓰여 있음을 실감한다.

 

 

Anybody who has been seriously engaged in scientific work of any kind realizes that over the entrance to the gates of the temple of science are written the words: YOU MUST HAVE FAITH. - Max Planck

 

 

 

이 글의 관련 문법입니다.

[문법5. 기타] - 도치

[문법1. 명사/4. that S+V] - 명사절의 접속사 that 

[문법2. 형용사/7. 전치사구] - 전치사구 

[문법2. 형용사/5, 관계대명사] - 주격 관계대명사 

[문법4. 동사] - 현재완료의 능동과 수동

 

'세 줄 한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 추구와 갑작스러운 부 사이에  (0) 2015.07.25
구텐베르크 성경, 마틴 루터의 낙서  (0) 2015.07.24
작은 개인 박물관  (0) 2015.07.13
십대들의 먹거리  (0) 2015.07.08
가정용 화학물질  (0) 201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