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가정법 과거완료: 고대 조각상과 역사적 유물 훼손

기름 한 병 2016. 2. 23. 07:30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가정법 과거완료와 분사구문을 이용한 문장입니다.

 

 

 

* 기본 단어:

police 경찰/ investigator 조사관/ conclude 결론을 내리다/ lithe 유연한, 나긋나긋한/ deliberately 고의적으로/ burn 태우다/ museum 박물관/ destroy 파괴하다/ ancient 고대의/ statue 조각상/ historical 역사적인/ relics 유물

 

 

 

 

1. 그 경찰 조사관이 (거기에서) 멈추었다면

 

 

Had the police investigator stopped,

 

 

가정법 과거완료 구문의 if절입니다.

'If+ S+had p.p. ~'의 패턴이지요.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사실에 반대되는 일을 나타낼 때 씁니다.

'If+ S+had p.p. ~, S+ would/ should/ could/ might+ have p.p. ~'의 형태로,

‘(과거에) 만일 ~했다면 ~했을 것이다’라는 뜻입니다.

 if를 생략하면 주어와 had의 위치가 바뀝니다. 도치입니다.

 

 

예를 볼까요?

 

 

If Alexander had lived twenty years longer, (만약 알렉산더가 이십년 더 살았더라면,)

이제 if를 생략하면 주어와 had의 위치가 바뀝니다.

Had Alexander lived twenty years longer,

 

 

If the police investigator had stopped, (경찰 조사관이 (거기에서) 멈추었다면)

이제 if를 생략하면 주어와 had의 위치가 바뀝니다.

Had the police investigator stopped,

 

 

 

 

2. 그는 ~라고 결론을 내렸을지도 모른다.

 

 

he might have concluded that S+V~

 

 

가정법 과거완료의 주절입니다.

'조동사의 과거형+ have p.p.'의 패턴이지요.

 

 

조동사의 과거형+ have p.p.는?

① 가정법 과거완료가 ‘과거사실에 반대되는 일’을 나타내기에 실상은 과거시제이지요.

(have p.p.가 있다고 해서 절대 현재완료 아닙니다!!!)

 

② 이제 각 조동사의 뜻만 살려주면 됩니다.

might have p.p.: ~ 했을지도 모른다

would have p.p.: ~ 했을 것이다

could have p.p.: ~ 할 수도 있었다

should have p.p.: ~ 했어야 했는데 (실제로는 안함)

cf. must have p.p.: (과거에)~ 했음에 틀림없다

 

 

Had Alexander lived twenty years longer, he would probably have built up a universal monarchy

(알렉산더가 이십년 더 살았더라면, 그는 어쩌면 세계적인 군주제를 확립했을 것이다.)

 

 

이제 본문으로 돌아오면...

 

 

Had the police investigator stopped, he might have concluded that S+V~.

(그 경찰 조사관이 (거기에서) 멈추었다면, 그는 ~라고 결론을 내렸을지도 모른다.)

 

 

 

 

3. 그 나긋나긋한 78살 (노인)이 박물관에 불을 질렀다.

 

 

the lithe 78-year-old deliberately burnt the museum

 

 

주어(the 78-year-old), 동사(burnt), 목적어(the museum)의 3형식 문장입니다.

 

 

 

 

4. 그 나긋나긋한 78살 노인이 박물관에 불을 질러 28점의 고대 조각상을 훼손했다.

 

 

the lithe 78-year-old deliberately burnt the museum, destroying 28 pieces of ancient statues

 

 

분사구문입니다.

‘S+V~, ~ing(p.p.)’ 형태의 분사구문입니다.

이때 현재분사(~ing)나 과거분사(p.p.)는 주어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어가 직접 하면 능동(~ing), 주어가 당하면 수동(p.p.)입니다.

‘~하면서’ 혹은 ‘(동사)해서 (분사)하다’로 많이 해석합니다.

 

 

the 78-year-old burnt the museum, destroying 28 pieces of ancient statues

destroy는 ‘파괴하다’라는 뜻입니다.

주어인 78세 노인이 (28점의 고대 조각상을) 파괴한 것이지요?

따라서 주어와 분사의 관계는 능동, 즉 현재분사(destroying)입니다.

 

 

다른 예를 볼까요?

 

 

He hardly closed his eyes, trying to figure out what she was thinking and feeling.

(그녀가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그는 거의 잠을 이루지 못했다.)

try to는 ‘~하려고 애쓰다, 노력하다’라는 뜻입니다.

주어인 그가 (그녀의 생각을 이해하려고) 애쓰는 것이지요?

따라서 주어와 분사의 관계는 능동, 즉 현재분사(trying to~)입니다.

 

 

I made room for anxieties, allowing all kinds of useless and negative thoughts ~

(나는 모든 쓸데없고 부정적인 생각들을 허용하면서, 불안함에 마음이 빼앗겼다.)

allow는 ‘~을 허락하다’라는 뜻입니다.

주어인 내가 (부정적인 생각들을) 허락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주어와 분사의 관계는 능동, 즉 현재분사(allowing)입니다.

 

 

 

 

5. 28점의 고대 조각상과 대략 120여 점의 다른 역사적 유물들을 훼손했다.

 

 

, destroying 28 pieces of ancient statues and about 120 other historical relics

 

 

 

 

마무리입니다.

 

 

 

 

경찰 조사관이 거기에서 멈추었다면, 그는 그 나긋나긋한 78살의 노인이 박물관에 불을 질렀고 이에 따라 28점의 고대 조각상과 그와 관련된 역사적 유물 120여 점이 훼손되었다고 결론을 내렸을지도 모른다.

 

 

Had the police investigator stopped, he might have concluded that the lithe 78-year-old deliberately burnt the museum, destroying 28 pieces of ancient statues and about 120 other historical relics.

 

 

 

이 글의 관련문법입니다.

분사구문과 독립 분사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