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such~ that~ : 자연은 빡빡한 스케줄에서 일하지 않는다

기름 한 병 2016. 2. 15. 07:30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such~ that~' 구문입니다.

 

 

 

기본 단어:

intense 극심한, 강렬한/ enormous 거대한/ pressure 압박, 압력/ keep ~ing 계속해서 ~하다/ churn out 대량 생산하다/ impressive 인상적인/ result 결과/ completely 완벽하게/ forget 잊다/ fact (…라는) 점/ nature 자연/ work 일하다/ rush 급히 서두르다/ hectic 정신없이 바쁜, 빡빡한/ schedule 일정

 

 

 

 

1. 그는 자신이 극심하고 거대한 압박 하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He found himself under intense, enormous pressure

 

 

himself는?

재귀대명사입니다.

재귀대명사는 주어와 목적어가 일치할 때 목적어 자리에 씁니다.

주어와 목적어가 일치하지요? (He = himself)

그래서 목적어자리가 himself입니다.

 

 

다른 예를 볼까요?

 

 

They can renew themselves.

(그들은 스스로를 재생할 수 있다.)

주어와 목적어가 일치합니다. (They = themselves)

* renew: 새롭게 하다, 회복하다

 

 

The chef never stuffs himself even at a buffet.

(그 요리사는 심지어 뷔페에서도 절대 배부르게 먹지 않는다.)

주어와 목적어가 일치합니다. (The chef = himself)

* stuff: 너무 많이[잔뜩] 먹다

 

 

 

 

2. 계속해서 훨씬 더 인상적인 결과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극심하고 거대한 압박 하에

 

 

under intense, enormous pressure to keep churning out even more impressive results

 

 

to keep churning out~은?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to 부정사의 마디가 앞에 있는 명사(pressure)를 수식합니다.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

① to 부정사의 마디가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며,

② ‘~할/ ~하는’으로 해석합니다.

 

 

its ability to maintain living things

(생명체를 부양하는 그 능력)

 

 

several rules to keep, whether fair or not

(타당하든 아니든 상관없이 지켜야 할 몇몇 규칙)

 

 

under intense pressure to keep churning out even more impressive results

(계속해서 훨씬 더 인상적인 결과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극심한 압박 하에)

 

 

 

even은?

비교급 강조의 표현입니다.

 

비교급 강조는

① 비교급 앞에 even, much, far, still, a lot 중 하나가 붙으며,

② ‘훨씬’이라는 의미입니다.

 

 

impressive (인상적인)

more impressive (더 인상적인)

even more impressive (훨씬 더 인상적인)

 

 

many people (많은 사람들)

more people (더 많은 사람들)

even more people (훨씬 더 많은 사람들)

 

 

 

 

3. 그가 극심하고 거대한 압박을 받게 되어 그 사실을 완벽히 잊어버렸다.

 

 

He found himself under such intense, enormous pressure ~ that he completely forgot the fact

 

 

'such~ that~' 구문입니다.

 

 

'such~ that~' 구문은

① 'such+명사+that~'의 형태로, such 다음에는 명사가 옵니다.

② '너무 ~해서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This book is written in such easy English that beginners can understand it.

(이 책은 너무 쉬운 영어로 쓰여서 초보자들도 이해할 수 있다.)

 

 

cf. 'so~ that~' 구문도 '너무 ~해서 ~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so 다음에는 형용사나 부사가 옵니다.

 

 

It is so dark that I cannot see my hand before me.

(너무 어두워서 내 앞에 있는 내 손도 볼 수 없다.)

 

 

 

 

4. 자연은 바쁘고 빡빡한 업무 스케줄에서 일하지 않는다는 사실

 

 

the fact that nature doesn't work on a rushed, hectic schedule

 

 

the fact that S+V~은?

명사(the fact)를 동격의 that이 설명합니다.

 

 

동격의 that은?

① ‘N that S+V~’의 형태입니다.

앞에 있는 명사를 설명하기위해 ‘that S+V~’이라는 명사절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② ‘~라는 명사(N)'로 해석됩니다.

 

 

the fact that most seemingly impossible obstacles can be overcome

(겉보기에 가장 불가능해 보이는 장애도 극복될 수 있다는 사실)

* seemingly 겉으로는/ obstacle 장애/ overcome 극복하다

 

 

the fact that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A and B

(A와 B사이에 어떠한 실제적인 관련성도 없다는 사실)

* connection 관련성/ between A and B A와 B사이

 

 

the vague but palpable fear that they will kill many innocent people

(그들이 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죽일 거라는 막연하지만 감지할 수 있는 두려움)

* vague 막연한/ palpable 손으로 만질 수 있는/ innocent 결백한, 무죄의

 

 

 

 

마무리입니다.

 

 

 

 

훨씬 더 인상적인 결과물을 계속해서 만들어내야 한다는 극심하고 거대한 압박 하에서 그는 자연은 바쁘고 빡빡한 업무 스케줄에서 일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완벽하게 잊어버렸다.

 

 

He found himself under such intense, enormous pressure to keep churning out even more impressive results that he completely forgot the fact that nature doesn't work on a rushed, hectic schedule.

 

 

 

 

이 문장의 관련문법입니다.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영어에서 형용사의 5가지 형태

동격의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