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기업과 가계의 장기적인 도전

기름 한 병 2016. 1. 26. 12:28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가목적어와 진목적어, 그리고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를 이용한 문장입니다.

 

 

 

* 기본 단어:

energy 에너지/ put (어떤 위치에) 놓다, 두다/ consider 숙고하다, 생각하다/ minor (비교적) 중요치 않은/ economic 경제상의/ issue 논쟁점, 문제/ involve 수반하다, 포함하다/ difficult 어려운/ business 기업/ household 가정, 가계/ plan ahead 미리 계획하다/ prepare 준비하다/ long-term 장기적인/ challenge 도전/ face 직면하다

 

 

 

 

1. 너무 많은 에너지가 투입된다.

 

 

So much energy is put

 

 

3형식의 수동태 문장입니다.

They put so much energy ~

→ So much energy is put (by them)

 

 

 

 

2. 몇몇의 사소한 경제적 문제들을 고려하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가 투입된다.

 

 

So much energy is put into considering some of the minor economic issues

 

 

into considering은?

전치사구(into+N)입니다.

전치사구는 문장에서 형용사나 부사의 역할을 하지요?

지금은 부사의 역할입니다.

동명사(considering)가 전치사 into의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 into: ~ 안으로

 

 

 

 

3. 수반된 몇몇의 사소한 경제적 문제들

 

 

some of the minor economic issues involved

 

 

involved는?

과거분사입니다.

involved의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와 be동사(which are)가 생략되어있습니다.

some of the minor economic issues (which are) involved

 

 

 

 

4. 그것은 미리 계획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lan ahead

 

 

, which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which입니다.

 

makes의 주어가 없기에 which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는 경우를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라고 부릅니다.

보통의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지만,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의 경우는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지 않고, 그것은(주격), 그것을(목적격)로 따로 해석합니다.

 

 

I'll introduce our program, which will help improve your math grade.

(우리 프로그램을 소개하겠습니다. 그것은 당신의 수학 성적 향상을 도울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요.

 

 

 

makes it difficult to plan ahead는?

‘동사(makes)+목적어(it)+목적보어(difficult)’형태의 5형식 문장 구조입니다.

이때 it은 가목적어입니다.

 

진목적어는?

목적보어의 뒤에 붙여주면 됩니다.

‘동사(makes)+가목적어(it)+목적보어(difficult)+진목적어(to plan ahead)’의 형태입니다.

 

Tip~!!!

5형식의 문장에서는 목적어 자리에 직접 to 부정사를 쓰지는 않습니다.

목적어 자리에는 가목적어 it을 쓰고, 진목적어자리에 to부정사를 씁니다.

 

 

다른 예를 볼까요?

 

 

He thought it better to become a vegetarian.

(그는 채식주의자가 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it은 가목적어, better는 목적보어, to 이하가 진목적어입니다.

 

 

Doctors and midwives often thought it best not to publicize the fact.

(의사들과 산파들은 종종 그 사실을 공표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it은 가목적어, best는 목적보어, not to publicize~가 진목적어입니다.

to 부정사의 부정은 ‘not to 동사원형’입니다.

 

 

 

 

5. 그것은 기업과 가계가 미리 계획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businesses and households to plan ahead

 

 

for businesses and households는?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입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to 부정사의 동사를 행동하는 주체입니다.

보통은 to 부정사 앞에 ‘for+N’의 형태로 들어옵니다.

 

 

He thought it better for her to become a vegetarian.

(그는 그녀가 채식주의자가 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가목적어(it)+목적보어(better)+의미상의 주어(for her)+ 진목적어(to become)’입니다.

 

 

Our society must make it right and possible for old people not to fear the young.

(우리 사회는 노인들이 젊은이들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확실하고 가능하게 해야 한다.)

‘가목적어(it)+목적보어(right~)+의미상의 주어(for old people)+ 진목적어(not to fear~)’입니다.

 

 

 

 

6. 장기적인 도전에 준비하기위해 미리 계획하는 것

 

 

to plan ahead to prepare for the long-term challenges

 

 

to 부정사의 부사적용법(목적)입니다.

‘~하기 위해’로 해석하며 ‘in order to V’나 ‘so as to V’로 바꿀 수 있습니다.

* to prepare~ = in order to prepare~ = so as to prepare~

 

 

 

 

7. 그들이 직면한 장기적인 도전에 준비하도록 미리 계획하는 것

 

 

to plan ahead to prepare for the long-term challenges that they face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타동사 face의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기에 the long-term challenges를 수식합니다.

the long-term challenges that they face (그들이 직면한 장기적인 도전들)

 

 

 

 

마무리입니다.

 

 

 

 

수반된 몇몇의 사소한 경제적 문제들을 고려하는데 너무나 많은 에너지가 투입되고 있다. 그것은 기업과 가계가 그들이 직면한 장기적인 도전에 준비하도록 미리 계획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So much energy is put into considering some of the minor economic issues involved,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businesses and households to plan ahead to prepare for the long-term challenges that they face.

 

 

 

 

이 문장의 관련문법입니다.

명사를 수식하는 표현들(형용사)의 공통점

가목적어와 진목적어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3형식의 수동태와 시제

과거분사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목적)

목적격 관계대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