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한 문장

한때는 하얀색: 과거 완료

기름 한 병 2021. 2. 13. 17:14

핵심 문법: 과거 완료 (had+ p.p.)입니다. 

 

 

1. 그것은/ 2층짜리 벽돌집이었다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 2형식 문장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SC

 

주어(S)+동사(V)+주격 보어(SC)로 이루어진 2형식 문장입니다. 

주격 보어 자리에 명사 a two-story brick house가 있습니다.
주격 보어는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it의 상태 = a two-story brick house)

 

 

2. 그것은/ 2층짜리 벽돌집이었다/ 한때는 하얀색이었던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 과거 완료 (had+ p.p.)

→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과거                                                     과거 완료

 

과거 완료는 과거의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일어난 일을 나타냅니다.

‘had+ p.p.’의 형태로 ‘~했었다’로 해석하지요. 

 

was는 과거시제입니다. 

그런데 그 2층짜리 벽돌집이 (과거 이전에) 한때는 하얀색이었지요? 

이처럼 과거의 한 시점(was)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일어난 일은 과거 완료를 씁니다. 

* once: (과거의) 이전에, 한때, 옛날에

 

 

잠깐~!

that had once been white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

 

마디 안에 있는 동사 had been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선행사가 사물일 때는 which 혹은 that을 씁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a two-story brick house를 수식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that은 해석하지 않습니다.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2층짜리 벽돌집/            한때는 하얀색이었던  

 

 

3. 그것은/ 2층짜리 벽돌집이었다/ 한때는 하얀색이었던/ 한 쌍의 소파로 꾸며진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decorated with a pair of sofas

 

* 명사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a two-story brick house ... decorated with a pair of sofas

                   명사                                  과거분사의 마디

 

과거분사의 마디 decorated with a pair of sofas가 a house를 수식합니다. 

지금처럼 분사가 부사(구)를 데려오는 경우, 분사는 명사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합니다.

with a pair of sofas는 전치사구로,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decorated with a pair of sofas

    과거분사+ 전치사구(부사의 역할)

 

decorate는 ‘…을 장식하다, 꾸미다’라는 뜻입니다.

수식을 받는 명사인 2층짜리 벽돌집이 (무엇을 장식한 것이 아니라) 장식된 것이지요? 

따라서 두 단어 a two-story brick house와 decorate는 수동의 관계입니다. 

이 경우 과거분사 decorated를 씁니다.  

 

a two-story brick house ... decorated with a pair of sofas

                  2층짜리 벽돌집/                   한 쌍의 소파로 꾸며진

 

* a pair of: 한 쌍의

 

 

4. 그것은/ 2층짜리 벽돌집이었다/ 한때는 하얀색이었던/ 한 쌍의 편안한 소파로 꾸며진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decorated with a pair of comfortable sofas

 

* 명사의 앞/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 a pair of comfortable sofas (한 쌍의 편안한 소파)

 

형용사는 명사의 앞이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형용사 comfortable이 명사 sofas 앞에서 명사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5. 그것은/ 2층짜리 벽돌집이었다/ 한때는 하얀색이었던/ 한 쌍의 편안한 소파로 꾸며진/ 거실 벽난로를 마주한 (소파)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decorated with a pair of comfortable sofas facing the living room fireplace. 

 

* 명사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 

→ a pair of comfortable sofas facing the living room fireplace

                                                           현재분사의 마디

 

현재분사의 마디 facing the living room fireplace가 sofas를 수식합니다. 

지금처럼 분사가 목적어를 데려오는 경우, 명사의 뒤에서 명사 sofas를 수식합니다. 

facing the living room fireplace

   현재분사+            목적어

 

face는 ‘…을 향하다; (방·창문 등이) …을 마주하다’라는 뜻입니다.

수식을 받는 명사인 (한 쌍의 편안한) 소파가 거실 벽난로를 마주하지요? 

따라서 두 단어 sofas와 face는 능동의 관계입니다. 

이 경우 현재분사 facing을 씁니다.  

a pair of comfortable sofas facing the living room fireplace

                한 쌍의 편안한 소파/                   거실 벽난로를 마주한

 

 

마무리: 

그것은 거실 벽난로를 마주한 편안한 소파 한 쌍으로 꾸며진, 한때는 하얀색이었던 2층짜리 벽돌집이었다.

It was a two-story brick house that had once been white, decorated with a pair of comfortable sofas facing the living room fire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