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한 문장

맹세로 보증된 그 약속: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

기름 한 병 2021. 2. 8. 12:09

핵심 문법: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 문장입니다. 

 

 

1. 그 약속은/ 반드시 지켜질 것이다

the promise will surely be kept

 

*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

→ the promise will surely be kept

                   조동사+           be+p.p.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주어+ 조동사+ be+p.p.+ (by 목적격)’의 형태입니다. 

조동사가 있는 문장을 수동태로 바꾸기 위해서는? 

 

He will surely keep the promise. (그는 반드시 그 약속을 지킬 것이다.)

 

① 먼저 목적어를 주어 자리로 옮깁니다. 

the promise

② 조동사를 써줍니다. 

→ the promise will

③ 동사를 be+p.p.의 형태로 써줍니다. 

→ the promise will surely be kept

④ 주어를 by+목적격의 형태로 바꿉니다. 

(주어가 일반인이거나 굳이 말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by+목적격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the promise will surely be kept (by him)

 

 

2. 그 약속은/ 그의 맹세로 보증된 (그 약속)/ 반드시 지켜질 것이다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

 

* 명사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과거분사의 마디

 

과거분사의 마디 guaranteed by his oath가 the promise를 수식합니다. 

지금처럼 분사가 부사(구)를 데려오는 경우, 분사는 명사의 뒤에서 명사를 수식합니다.

by his oath는 전치사구로, 지금 부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guaranteed by his oath

     과거분사         전치사구

 

guarantee는 ‘…을 보증하다’라는 뜻입니다.

수식을 받는 명사인 약속이 (무엇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라) 보증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두 단어 the promise와 guarantee는 수동의 관계입니다. 

이 경우 과거분사 guaranteed를 씁니다.  

 

→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그 약속/          그의 맹세로 보증

 

 

3. 너는/ 굳게 믿어야 한다/ 그 약속이/ 그의 맹세로 보증된/ 반드시 지켜질 것을

you must firmly believe that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

 

* 명사절의 접속사 that (목적어)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

             S                                                                V

 

문장을 명사로 바꾸기 위해서는 접속사가 필요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을 문장 앞에 써주면 문장 자체가 명사가 됩니다.

that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

 접속사         S                                                             V

 

이제 문장이 명사절로 바뀌었습니다. 

그럼 문장 자체가 명사의 역할을 하겠지요?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문장은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의 자리에 쓸 수 있습니다. 

이제 목적어 자리에 써볼까요?

(목적어 자리에 쓰이는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you must firmly believe (that) the promise ... will surely be kept

       S                       V                                     O   

 

 

4. 너는/ 인내해야 한다/ 그리고/ 굳게 믿어야 한다/ 그 약속이/ 그의 맹세로 보증된/ 반드시 지켜질 것을

you must be patient and firmly believe that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

 

* 등위접속사 (and) 

→ you must be patient and firmly believe ...

        조동사+본동사       and            본동사   

 

등위접속사 and가 두 개의 본동사를 대등하게 연결하고 있습니다.

 

 

5.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찾아올 때/ 너는/ 인내해야 한다/ 그리고/ 굳게 믿어야 한다/ 그 약속이/ 그의 맹세로 보증된/ 반드시 지켜질 것을

When the fear of failure comes, you must be patient and firmly believe that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

 

* 시간의 부사절

When the fear of failure comes, 

    접속사       S                         V

 

시간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when입니다.

‘when+S+V’의 형태로, ‘~할 때’의 의미입니다. 

 

 

잠깐~!

시간의 부사절은 의미상 미래의 일을 나타내더라도 항상 현재 시제를 사용하지요? 

실패의 두려움이 찾아오는 것은 의미상 미래의 일입니다. 

하지만 미래 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지금처럼 현재 시제를 쓴답니다. 

→ When the fear of failure comes, 

ex. Don't be shaken until he comes back. (그가 돌아올 때까지 흔들리지 마라.)

 

 

마무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찾아올 때, 너는 인내하고 그의 맹세로 보증된 그 약속이 반드시 지켜질 것이라고 굳게 믿어야 한다.

When the fear of failure comes, you must be patient and firmly believe that the promise guaranteed by his oath will surely be k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