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한 문장

네가 미워하지 않으면: unless

기름 한 병 2021. 2. 14. 01:08

핵심 문법: 조건의 부사절입니다. 

 

 

1. 남들이/ 너를 미워할지도 모른다

others may hate you

 

* 조동사 may

→ others may hate you

              조동사+동사원형

 

may는 추측을 나타냅니다. 

‘~일지도 모른다’라는 의미입니다. 

 

 

2. 남들이/ 너를 미워할지도 모르지만/ 너를 미워하는 사람들은/ 이긴 것이 아니다

others may hate you but those who hate you don’t win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 who hate you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

 

who hate you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입니다. 

마디 안에 있는 동사 hate의 주어가 없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의 마디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에 있는 명사 those을 수식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who는 해석하지 않습니다. 

those who hate you 

  사람들/        너를 미워하

  

* those who: ~하는 사람들                            

 

 

3. 남들이/ 너를 미워할지도 모르지만/ 너를 미워하는 사람들은/ 이긴 것이 아니다/ 네가 그들을 미워하지 않는다면

others may hate you but those who hate you don’t win unless you hate them

 

* 조건의 부사절

unless you hate them

    접속사   S     V  

 

조건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unless입니다.

‘unless+S+V’의 형태로, ‘만약 …이 아니라면’의 의미입니다. 

 

 

4. 항상 기억하라/ 남들이/ 너를 미워할지도 모르지만/ 너를 미워하는 사람들은/ 이긴 것이 아니라는 것을/ 네가 그들을 미워하지 않는다면

Always remember (that) others may hate you but those who hate you don’t win unless you hate them.

 

* 명사절의 접속사 that (목적어) 

others may hate you ...

         S            V       O

 

3형식 문장입니다. 

 

문장을 명사로 바꾸기 위해서는 접속사가 필요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을 문장 앞에 써주면 문장 자체가 명사가 됩니다.

that others may hate you ...

   접속사    S            V

 

이제 문장이 명사절로 바뀌었습니다. 

그럼 문장 자체가 명사의 역할을 하겠지요?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문장은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의 자리에 쓸 수 있습니다. 

이제 목적어 자리에 써볼까요?

(목적어 자리에 쓰이는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 Always remember (that) others may hate you ...

                        V                              O   

 

 

마무리:

남들이 너를 미워할지도 모르지만, 네가 그들을 미워하지 않는다면 너를 미워하는 그들이 이긴 것이 아님을 항상 기억하라. 

Always remember others may hate you but those who hate you don’t win unless you hate them. - Richard M. Nix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