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한 문장

간접의문문(의+S+V): 얼마나 잔인하게 반응했는지

기름 한 병 2017. 9. 8. 22:54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간접의문문(+S+V~)입니다.

 

 

 

* 기본 단어:

kneel down 무릎을 꿇다/ plead for mercy 자비를 구하다/ monarch 군주/ recognize 인식하다/ cruelly 잔혹하게/ put reaction 반응하다/ nor ~도 또한 아니다/ matter 문제/ beyond one’s capacity 능력 밖의/ from the first 처음부터

 

 

 

 

1. 그들이 땅바닥에 무릎을 꿇었을 때도,

 

 

Even when they knelt down on the ground,

 

 

when은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의 접속사입니다.

주어(they), 동사(knelt down)1형식 문장입니다.

 

 

 

 

2. 자비를 구하며 그들이 땅바닥에 무릎을 꿇었을 때도,

 

 

Even when they knelt down on the ground pleading for mercy,

 

 

pleading for mercy?

분사구문(동시동작)입니다.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표현합니다.

(지금은 무릎 꿇기와 자비 구하기가 동시에 일어납니다.)

보통 ‘~하면서로 해석합니다.

 

 

다른 예를 볼까요

 

 

He stands there doing nothing.

(그는 아무것도 안하면서 거기 서있다.)

 

He ran out of the house shouting.

(그는 소리를 지르며 집에서 뛰어 나갔다.)

 

She is in the kitchen baking chocolate cookies.

(그녀는 초콜릿 쿠키를 구우면서 부엌에 있다.)

 

 

 

 

3. 그 군주는 자신이 얼마나 잔인하게 반응했었는지를 인식하지 못했다.

 

 

the monarch did not recognized how cruelly he had put his reaction

 

 

how cruelly he had put his reaction?

간접의문문입니다.

 

간접의문문은 의문사(의 마디)+S+V~’의 어순입니다.

의문사의 마디(how cruelly)+ 주어(he)+ 동사(had put) ~

간접의문문은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did not recognized의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he had put his reaction cruelly (그는 잔인하게 반응했었다.)

how cruelly he had put his reaction (얼마나 잔인하게 그가 반응했었는지)

 

 

다른 예를 볼까요?

 

 

Try to identify exactly which tall tales the director has in mind.

(정확히 어떤 과장을 감독이 염두에 두고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노력해라.)

 

exactly which tall tales the director has in mind는 간접의문문의 어순입니다.

의문사의 마디(which tall tales)+ 주어(the director)+ 동사(has) ~  

간접의문문은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to identify의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the director has ( ? ) tall tales in mind

which tall tales the director has in mind

 

 

Maturity has more to do with what you've learned from them.

(성숙함은 네가 그것들로부터 무엇을 배웠는가와 더 관련이 있다.)

 

what you've learned 역시 간접의문문의 어순입니다.

의문사(what)+ 주어(you)+ 동사(have learned)

간접의문문은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지금은 has to do with의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 have to do with: ~와 관계가 있다

 

you've learned ( ? ) from them

what you've learned from them

 

 

 

 

이제, did not recognized의 두 번째 목적어를 써봅니다

 

 

 

 

4. 그 군주는 처음부터 그 문제가 그들의 능력 밖에 있었음을 인식하지 못했다.

 

 

the monarch did not recognized that the matter had been beyond their capacity from the first

 

 

that the matter had been beyond their capacity from the first?

did not recognized의 두 번째 목적어입니다.

목적어 자리에 명사절의 접속사 that이 있습니다.

물론 목적어 자리에 있는 접속사 that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이제 두 개의 목적어를 연결해볼까요?

 

 

 

 

5. the monarch did not recognized how cruelly he had put his reaction, nor that the matter had been beyond their capacity from the first

 

 

첫 번째 목적어 자리에 있는 간접의문문의 마디와 두 번째 목적어 자리에 있는 명사절의 접속사 that절이 병렬구조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nor?

앞에 부정이 먼저 나오고, 뒤에 다시 부정이 계속될 때 사용됩니다

앞의 부정문에 이어서 ‘~도 또한 ~아니다라는 의미의 접속사로 쓰입니다.

 

 

had puthad been?

과거완료 시제입니다.

 

과거완료는

‘had+p.p.’의 형태로,

과거의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일어난 일을 나타냅니다.

주로 ‘~했었다로 해석합니다.

 

 

예를 볼까요?

 

 

He made them take an oath to do what they had promised.

(그는 그들에게 자신들이 약속한 것을 지키도록 서약하게 했다.)

그들을 서약하게 한 것은 과거시제(made)입니다.

그런데 그 이전에 먼저 그들이 약속을 했었지요?

따라서 그들이 약속한 것은 과거완료(had promised)를 씁니다.

 

 

They claimed that the teenager had not been mentally stable.

(그들은 그 십대가 정신적으로 안정되지 않았었다고 주장했다.)

그들이 주장한 것은 과거시제(claimed)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주장하기 이전에 먼저 그 십대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였지요?

따라서 그 십대가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는 과거완료(had been)를 씁니다.

 

 

이제 본문으로 돌아와서, 그가 잔인하게 반응한 것 그리고 처음부터 그 문제가 그들의 능력 밖에 있었던 것은 모두 그 군주가 did not recognized 하기 전의 상황입니다. 과거 이전의 상황이지요. 그래서 had puthad been 즉 과거완료 시제가 사용되었습니다

 

 

 

 

전체 마무리입니다

 

 

 

 

그들이 자비를 구하며 땅바닥에 무릎을 꿇었을 때도, 그 군주는 자신이 얼마나 잔인하게 반응했었는지를, 그리고 처음부터 그 문제는 그들의 능력 밖에 있었음을 인식하지 못했다

 

 

Even when they knelt down on the ground pleading for mercy, the monarch did not recognized how cruelly he had put his reaction, nor that the matter had been beyond their capacity from the fir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