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 한 문장

Only 도치 구문: 집으로 오는 길에야

기름 한 병 2016. 3. 8. 13:02

부분에서 전체로 (From Parts To Whole)

 

 

Only 도치 구문, 간접의문문 그리고 to 부정사의 완료형입니다.

 

 

 

* 기본 단어:

on the way home 집으로 오는 길에/ realize 깨닫다, 알아차리다/ ridiculous 웃기는, 터무니없는

 

 

 

 

1. 집으로 오는 길에 나는 ~을 깨달았다.

 

 

On the way home I realized ~

 

 

주어(I), 동사(realized), 목적어(~)의 3형식 문장입니다.

 

 

 

 

이제 한정부사 only가 문장 앞에 나오면...

주어와 동사가 도치됩니다.

 

 

 

 

2.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야 나는 ~을 깨달았다.

 

 

Only on the way home did I realize

 

 

이때 일반동사의 경우에는 do/ did가 주어의 앞에 나오고, 주어의 뒤에는 본동사(realize)가 옵니다.

 

 

 

 

이제 realize의 목적어 자리입니다.

 

 

 

 

3.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야 나는 내가 얼마나 터무니없었는지 깨달았다.

 

 

Only on the way home did I realize how ridiculous I was

 

 

how ridiculous I was는?

간접의문문입니다.

‘의문사+주어+동사’의 형태이지요.

 

이때 의문사는 의문사 자체의 품사에 주의해야 합니다~!!!!!

의문사 how는 부사입니다.

부사는 형용사나, 부사, 혹은 완전한 형태의 문장과 함께 다닙니다.

따라서 의문사 how의 뒤에도 형용사나, 부사, 혹은 완전한 형태의 문장이 나옵니다.

 

 

 

의문사 how의 뒤에 형용사

 

they can be absurd and illogical

how absurd and illogical they can be

→ considering how absurd and illogical they can be to their close relatives

(그들이 자신의 가까운 동족에게 얼마나 무모하고 비논리적일 수 있는지를 생각하면)

 

전치사 considering의 목적어 자리에 간접의문문이 있습니다.

의문사(how ~)+주어(they)+동사(can be)의 어순입니다.

의문사 how의 뒤에는 형용사(absurd and illogical)가 있습니다.

be 동사의 보어 자리에 있는 형용사가 의문사 how와 함께 문장의 앞으로 나온 것입니다.

* considering ~을 고려하면/ absurd 무모한/ illogical 비논리적인/ relative 친척

 

 

 

의문사 how의 뒤에 부사

 

his father loves him deeply and sincerely

how deeply and sincerely his father loves him

→ by fully understanding how deeply and sincerely his father loves him

(얼마나 지극하고 신실하게 아버지가 자신을 사랑하는지 완전히 이해하는 것에 의해)

 

동명사 understanding의 목적어 자리에 간접의문문이 있습니다.

의문사(how ~)+주어(his father)+동사(loves)의 어순입니다.

의문사 how의 뒤에 부사(deeply and sincerely)가 있습니다.

이 부사들이 의문사 how와 함께 문장의 앞으로 나온 것입니다.

 

 

 

의문사 how의 뒤에 완전한 문장

 

they avoid dehydration

how they avoid dehydration

How they avoid dehydration is not a mystery any more.

(어떻게 들이 탈수를 피하는지는 더 이상 미스터리가 아니다.)

 

주어의 자리에 간접의문문이 있습니다.

의문사(how)+주어(they)+동사(avoid)의 어순입니다.

의문사 how의 뒤에 주어, 동사, 목적어, 즉 3형식의 완전한 문장이 있습니다.

 

 

 

 

4. 거절을 하다니 내가 얼마나 터무니없는지를

 

 

how ridiculous I was to have said no

 

 

to have said no는?

to 부정사의 완료형입니다.

 

 

to 부정사의 완료형은

① 'to have p.p.'의 형태로

② 본동사의 시제보다 이전 시점인 경우에 사용합니다.

 

 

She seems to have been rich.

이 문장에서 ‘to have been’은 'to have p.p.'의 형태입니다.

'to have p.p.'의 형태는 본동사보다 이전 시점을 나타냅니다.

본동사(seems)가 현재시제이므로, to have been은 그 보다 앞선 시제 즉 과거시제입니다.

‘과거’에 부유했던 것처럼 ‘지금’ 그렇게 보인다는 의미지요.

 

 

All the beautiful hopes seemed to have disappeared without a trace.

(모든 아름다운 소망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것 같았다.)

이 문장에서 ‘to have disappeared’도 'to have p.p.'의 형태입니다.

'to have p.p.'의 형태는 본동사보다 이전 시점을 나타냅니다.

본동사(seemed)가 과거시제이므로, to have disappeared는 대과거입니다.

그 이전에 벌써 사라졌던 것처럼 ‘과거 어느 시점에’ 그렇게 보였다는 의미지요.

 

 

이제 본문으로 돌아와서...

 

 

how ridiculous I was to have said no

 

 

이 문장에서 ‘to have said’도 'to have p.p.'의 형태입니다.

'to have p.p.'의 형태는 본동사보다 이전 시점을 나타냅니다.

본동사(was)가 과거시제이므로, to have said는 대과거입니다.

 

 

 

 

마무리입니다.

 

 

 

 

집으로 오는 길에야 나는 거절했던 것이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알게 되었다.

 

 

Only on the way home did I realize how ridiculous I was to have said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