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59

우리가 누구인지: 간접의문문 (의문사 who, what)

1. Today's sentence 말할 필요도 없이, 우리 문화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무엇을 옹호하는지의 일부이다. 2. Key grammar 간접의문문 (의문사 who, what) 3. From parts to Whole (빨간색이 늘어나는 부분입니다.) 1. 우리 문화는/ 일부분이다 2. 우리 문화는/ 일부분이다/ 우리가 누구인지의 3. 우리 문화는/ 일부분이다/ 우리가 누구인지의/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옹호하는지의 4. 말할 필요도 없이/ 우리 문화는/ 일부분이다/ 우리가 누구인지와 우리가 무엇을 옹호하는지의 4. Do you need detailed explanations? 1. 우리 문화는/ 일부분이다 our culture is part * 2형식 문장 → our culture is pa..

한 줄 한 문장 2022.03.30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부사인 경우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부사인 경우 1. 간접의문문은 의문사+S+V의 형태입니다. 2.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쓰입니다. 3. 의문사는 의문사 자체의 품사에 주의해야 합니다! 의문사의 품사는 대명사, 형용사, 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의문사가 부사인 경우입니다. 의문사 중에서 부사는 when, where, why, how입니다. 이들 의문사들은 간접의문문의 마디 안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문사 뒤로 완벽한 절이옵니다. 예를 볼까요? 1. 의문사 when The child will ask when she can start piano lessons. (아이는 언제 피아노 레슨을 시작할 수 있는지 물어볼 것이다.) when she c..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형용사인 경우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형용사인 경우 1. 간접의문문은 의문사+S+V의 형태입니다. 2.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쓰입니다. 3. 의문사는 의문사 자체의 품사에 주의해야 합니다! 의문사의 품사는 대명사, 형용사, 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의문사가 형용사인 경우입니다. 의문사 중에서 형용사인 경우는 whose, what, which입니다. 이들 의문사들은 간접 의문문의 마디 안에서 형용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뒤에 있는 명사를 수식합니다. 예를 볼까요? 1. 의문사 whose (* whose: 누구의) I don't know whose car it is. (누구 차인지 모르겠다.) whose car it is는 간접의문문의 형태입니다. → ..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대명사인 경우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대명사인 경우 1. 간접의문문은 의문사+S+V의 형태입니다. 2.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쓰입니다. 3. 의문사는 의문사 자체의 품사에 주의해야 합니다! 의문사의 품사는 대명사, 형용사, 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의문사가 대명사인 경우입니다. 의문사 중에서 대명사인 경우는 who, what, which입니다. 이들 의문사들은 간접의문문의 마디 안에서 주어나 목적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간접의문문의 마디 안은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형태의 절이 옵니다. 예를 볼까요? 1. 의문사 who (* who: 누구) I don't know who typed this letter. (나는 누가 이 편지를 타이핑했는지 ..

또 다른 발작: to 부정사의 완료형 (to have p.p.)

1. Today's sentence 의사는 팻시를 병원에 입원시켰는데, 그녀는 또 다른 발작을 일으킨 것으로 보였다. 2. Key grammar to 부정사의 완료형 (to have p.p.) 3. From parts to Whole (빨간색이 늘어나는 부분입니다.) 1. 의사는 팻시를 병원에 입원시켰다 2. 의사는 팻시를 병원에 입원시켰는데,/ 그녀는/ 보였다 3. 의사는 팻시를 병원에 입원시켰는데,/ 그녀는/ 보였다/ 또 다른 발작을 일으킨 것으로 4. Do you need detailed explanations? 1. 의사는 팻시를 병원에 입원시켰다 The doctor admitted Patsy to the hospital * 3형식 문장 → The doctor admitted Patsy O 3형식..

한 줄 한 문장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