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한 문장

당신이 누구 편인지: 간접의문문 (의문사 whose)

기름 한 병 2022. 4. 2. 00:03

1. Today's sentence

당신이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생각한다면, 당신이 누구 편인지 알게 될 것이다.

 

 

2. Key grammar 

간접 의문문 (의문사 whose)

 

 

3. From parts to Whole (빨간색이 늘어나는 부분입니다.)  

 

1. 당신은/ 주의 깊게 생각한다/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는지에 대해

 

2. 당신은/ 주의 깊게 생각한다/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에 대해

 

3. 만약 당신이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생각한다면,

 

4. 만약 당신이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알게 될 것이다/ 당신이 누구의 편에 있는지

 

4. Do you need detailed explanations?  

 

1. 당신은/ 주의 깊게 생각한다/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는지에 대해

you think carefully about whose idea you accept

 

* 간접의문문 (형용사로 쓰이는 의문사 whose)

 → think about whose idea you accept

               전치사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간접 의문문 whose idea you accept가 있습니다.

 

whose idea you accept는 ‘의문사(의 마디)+S+V’의 형태입니다.   

whose idea you accept

   의문사의 마디   S       V

 

‘의문사(의 마디)+S+V’는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쓰이지요.  

지금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 자리에 있습니다. 

 

의문사는 의문사 자체의 품사에 주의해야 합니다! 

의문사 whose의 품사는 형용사입니다.  

따라서 의문사 whose는 idea를 수식합니다.  

‘누구의’이라고 해석합니다. 

whose idea (누구의 생각)

 

 

기본 문장에서 다시 접근해볼까요?   

you accept his/her idea (당신은 그/그녀의 생각을 받아들인다.)

                                 O

 

3형식 문장입니다. 

his나 her는 형용사입니다. idea를 수식하지요.  

his/her 자리에 의문사가 들어오면 형용사(whose)가 들어와야 합니다. 

→ you accept whose idea 

 

이제 간접 의문문의 형태로 바꾸면? 

의문사 whose가 앞으로 나옵니다.

이때 whose는 혼자 앞으로 나오지 않고 수식하는 명사 idea를 데리고 움직입니다.

그래서 의문사의 마디(whose idea)+S+V의 형태가 됩니다. 

whose idea는 원래 목적어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목적어로 해석합니다. 

whose idea you accept

    누구의 생각을/ 당신이/ 받아들이는지 

 

 

2. 당신은/ 주의 깊게 생각한다/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에 대해

you think carefully about whose idea you accept and whose idea you ignore

 

* 간접의문문 (형용사로 쓰이는 의문사 whose)

 → think about whose idea you ignore

               전치사              목적어          

 

동일하게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간접 의문문 whose idea you ignore이 있습니다.

whose idea you ignore 역시 ‘의문사(의 마디)+S+V’의 형태입니다.   

 

의문사 whose의 품사는 형용사입니다.  idea를 수식합니다.  ‘누구의’이라고 해석합니다. 

whose idea (누구의 생각)

whose idea you ignore

    누구의 생각을/ 당신이/ 무시하는지 

 

 

3. 만약 당신이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생각한다면,

If you think carefully about whose idea you accept and whose idea you ignore, 

 

* 조건의 부사절

If you think carefully about ..., 

접속사 S   V 

 

조건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if입니다.

‘if+S+V’의 형태로, ‘만약 ~라면’의 뜻입니다. 

 

 

4. 만약 당신이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알게 될 것이다/ 당신이 누구의 편에 있는지

If you think carefully about whose idea you accept and whose idea you ignore, you will know whose side you are on. 

 

* 간접 의문문 (형용사로 쓰이는 의문사 whose)

 → you will know whose side you are on

                    동사                목적어          

 

동사 know의 목적어 자리에 간접의문문 whose side you are on이 있습니다.

whose side you are on 역시 ‘의문사(의 마디)+S+V’의 형태입니다.   

whose side you are on

    의문사의 마디  S    V

 

의문사 whose의 품사는 형용사입니다.  따라서 명사 side를 수식합니다.  ‘누구의’이라고 해석합니다. 

whose side (누구의 편)

 

 

기본 문장에서 다시 접근해볼까요?   

you are on his/her side. 

                 전치사    목적어

 

his나 her는 형용사입니다. side를 수식하지요.  

his/her 자리에 의문사가 들어오면 형용사(whose)가 들어와야 합니다. 

→ you are on whose side

 

이제 간접 의문문의 형태로 바꾸면? 

의문사 whose가 앞으로 나옵니다.

이때 whose가 혼자 앞으로 나오지 않고 수식하는 명사 side를 데리고 움직입니다.

그래서 의문사의 마디(whose side)+S+V의 형태가 됩니다. 

whose side you are on

 

be on somebody's side는 ‘...의 편을 들다’라는 뜻입니다. 

whose side you are on

     누구의 편에/ 당신이/ 있는지 

 

 

5. Wrap up! 

당신이 누구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누구의 생각을 무시하는지 주의 깊게 생각한다면, 당신이 누구 편인지 알게 될 것이다.

If you think carefully about whose idea you accept and whose idea you ignore, you will know whose side you are on.

 

 

관련 문법입니다. 

간접의문문 (의문사+S+V): 의문사가 형용사인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