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줄 한 문장

쥐어짜고, 움켜쥐는 스크루지: 현재분사(명사의 앞에서 명사를 수식)

기름 한 병 2022. 4. 15. 00:18

1. Today's sentence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인 에버네저 스크루지는 쥐어짜고, 움켜쥐고, 탐욕스러운 늙은 남자이다.

 

 

2. Key grammar 

현재분사(명사의 앞에서 명사를 수식)

 

 

3. From parts to Whole (빨간색이 늘어나는 부분입니다.)  

 

1.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2.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3.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찰스 디킨스에 의한

 

4.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이라는 책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인 에버네저 스크루지는/ 쥐어짜고, 움켜쥐고, 탐욕스러운 늙은 남자이다.

 

 

4. Do you need detailed explanations?  

 

1.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 동격의 콤마(,)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N.          ,               N          

 

동격의 콤마가 사용되면 ‘N, N’의 형태가 나옵니다.

앞에 있는 명사 스크루지를, 콤마 찍고, 뒤에 있는 명사가 다시 설명을 해주는 형태입니다. 

‘...인’으로 해석합니다. 

→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2.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 형용사로 쓰인 전치사구 (in+N)

 

동격의 콤마(,)를 다시 보면?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앞에 있는 명사 Scrooge를, 콤마 찍고, 뒤에 있는 명사 a character가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명사를 명사 하나로만 설명할 때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있지요? 그래서 콤마 뒤에 있는 명사의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보통은 형용사의 마디가 따라 붙습니다. 지금은 전치사구가 따라 나왔습니다. 전치사구(in the book “A Christmas Carol”)가 형용사의 역할을 하면서, 앞에 있는 명사 a character를 수식합니다.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N              전치사구 (*형용사의 역할)

 

* in: ~안의, ~에 있어서의, ~에 대한

 

 

3. 에버네저 스크루지/ 가상의 인물인/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찰스 디킨스에 의한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by Charles Dickens

 

* 형용사로 쓰인 전치사구 (by+N) 

→ the book “A Christmas Carol” by Charles Dickens

                                                          찰스 디킨스에 의한

 

전치사구(by Charles Dickens)가 형용사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에 있는 명사 the book “A Christmas Carol”을 수식합니다.  

 

* by: ...에 의한

 

 

4.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인 에버네저 스크루지는/ 쥐어짜고, 움켜쥐고, 탐욕스러운 늙은 남자이다.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by Charles Dickens, is a squeezing, grasping, greedy, old man.

 

* 명사의 앞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 

→ a squeezing man

         현재분사

 

현재분사 squeezing이 man을 수식합니다. 

지금처럼 분사가 단독으로 오는 경우, 분사는 명사의 앞에서 명사를 수식합니다. 

 

squeeze는 ‘(누군가를) 착취하다, 경제적으로 압박하다’라는 뜻입니다.

수식을 받는 명사인 남자가 (누군가를) 경제적으로 압박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두 단어 man과 squeeze는 능동의 관계입니다. 

이 경우 현재분사 squeezing을 씁니다.  

→ a squeezing man (쥐어짜는 남자)

 

a grasping man도 동일합니다. 

grasp은 ‘…을 꽉 쥐다, 움켜쥐다’라는 뜻입니다.

수식을 받는 명사인 남자가 (무언가를) 움켜쥐고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두 단어 man과 grasp은 능동의 관계입니다. 

이 경우 현재분사 grasping을 씁니다.  

→ a grasping man (움켜쥐고 있는 남자)

 

이제 형용사 4개가 명사 man을 수식합니다. 

→ a squeezing, grasping, greedy, old man

       쥐어짜고, 움켜쥐고, 탐욕스럽고, 늙은

 

* greedy 욕심 많은, 탐욕스러운

 

 

5. Wrap up!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이라는 책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인 에버네저 스크루지는 쥐어짜고, 움켜쥐고, 탐욕스러운 늙은 남자이다.

Ebenezer Scrooge,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book “A Christmas Carol” by Charles Dickens, is a squeezing, grasping, greedy, old man.

 

 

관련 문법입니다. 

[문법2. 형용사/4. 현재분사, 과거분사] - 현재분사의 명사 수식